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슈

10월 FOMC 앞두고 파월이 던진 신호? 금리 인하 기대, 시장 상황

by 토주남 2025. 10. 15.
반응형

최근 미국 증시와 채권 시장이 다시 요동치고 있다.
바로 제롬 파월(Jerome Powell) 연준 의장의 ‘비둘기파적’ 발언 때문이다.


🦉 파월의 스탠스, 미묘하지만 분명한 ‘톤 다운’
파월 의장은 이번 주 필라델피아 경제 컨퍼런스 연설에서 “노동 시장의 하방 리스크가 커지고 있으며, 경제 전망은 이전보다 약화되고 있다.”라고 언급했다.

그동안 파월은 인플레이션 억제에 집중하며 강한 긴축 기조를 유지해왔지만,
이번엔 ‘고용 둔화’ ‘리스크 관리’ 쪽을 강조했다.

여기에 “대차대조표 축소(QT) 프로그램이 조만간 종료될 수도 있다”는 완화적 신호까지 덧붙여졌다.

이 말을 해석해보자면
👉 인플레이션보다 경기 둔화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했다는 점,
👉 긴축에서 중립 혹은 완화 방향으로 기우는 뉘앙스가 강해진 점이 이번 발언의 핵심이다.

아직 “명확한 인하 시점”을 밝히진 않았지만,
시장에선 이미 “파월이 비둘기파로 돌아섰다”는 해석이 확산되고 있다.


💹 시장 반응: 달러 약세, 금리 하락, 증시 반등
JP모건과 모건스탠리 등 주요 투자은행들은
“이번 발언으로 10월 금리 인하 가능성이 한층 높아졌다”고 평가했으며

• 달러화는 약세 전환,
• 미국 국채 수익률은 하락,
• 나스닥과 S&P500 지수는 반등세를 보였다.

이는 금리 인하 기대가 반영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한편, 파월의 톤이 바뀐 것은 단순히 경기 둔화 우려 때문만은 아니다.
최근 발표된 미국 고용지표와 소비자물가(CPI) 모두 둔화 조짐을 보이며, ‘데이터 중심 정책’이라는 파월이 정책을 더 유연하게 바꿀 수 있는 여지가 생겼다.


🏦 FOMC와 금리 인하 전망

다음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
10월 28~29일로 예정되어 있다.

현재 시장(시카고상품거래소의 FedWatch Tool 기준)에선 금리 인하 확률이 70% 이상으로 반영되고 있다.
즉, 시장은 이미 “10월 인하를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다.

파월이 직접 “금리 인하를 확언한 것은 아니지만”
최근의 발언과 경제 흐름을 종합하면
👉 긴축 사이클 종료 → 첫 인하 전환이라는 시나리오가 유력하다.

물론 연준 내부에서도 의견은 갈린다.
몇몇 위원들은 “인플레이션이 완전히 잡히지 않았다”며 신중론을 펴고 있고,
다른 위원들은 “노동시장 악화가 더 큰 리스크”라며 인하를 지지하고 있다.

10월 15일 수요일
파월의 발언과 관련하여 시장 방향을 정리하면
연준은 금리를 내릴 타이밍을 고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파월 스탠스
긴축 → 완화로 기우는 뉘앙스 (비둘기파적 발언 강화)
💹 시장 반응
달러 약세, 채권 금리 하락, 기술주 중심 반등세
🏦 10월 FOMC 전망
금리 인하 기대 급증 (70% 이상 확률 반영)
⚠️ 변수
인플레이션 재반등, 연준 내 의견 분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