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슈

주식시장이 8월 1일을 주목하는 이유

by 토주남 2025. 7. 30.
반응형



1) 8월 1일 관세 시작!


8월 1일 시작되는 미국 관세 정책을 두고
막판 협상이 진행 중입니다. 주요 외교 협상인원들은
최종 제안서를 제출 해야해 압박을 받는중이라고 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하는 관세 정책의
세율은 기본적으로 10~30% 정도인데

관세는 자동차, 반도체, 전기차 부풍 등을 수출하는
한국 기업들의 수익을 깍아먹을 수 있어요.
실제로 현대차의 최근 실적 발표에서
미국 관세 부담 등으로 영업이익에 타격을
받았다고 언급했습니다.

먼저 관세 협상이 끝난 일본은 15%의 관세율을 얻어냈는데,
한국의 목표 또한 동일한 15%의 관세율을 얻는 것이라고 합니다.

투자자라면?
관세 협상의 성공과 실패에 따라 국내 수출주의 주식이
한 번 요동칠 것으로 예상이되네요.

2) 빅테크 실적 발표 (메타, 애플)


이번 주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아마존, 애플 등의
빅테크 실적 발표가 예정돼 있어요.

이번 실적 발표에 빠짐없이 나오는 주제는
AI 투자가 실제 매출과 성장으로 이어졌을지 일텐데
클라우드 이익, 광고 매출 등의 실적이 좋게 나왔다면
펀더멜털 적으로 매수 할 수 있는 좋은 시기이고
수익화가 썩 좋지 않다면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형태를
그리며 조정하는 주가 될 수도 있겠네요.


3) 금리, 물가, 고용 경제지표 발표


이번 주는 주요 경제지표들이 대거 발표되는 주에요
• FOMC 회의 : 7/31(목) 오전 3시
• 6월 PCE 물가지수이 : 기/31(목) 오후 9시 30분
• 7월 고용보고서 : 8/1(금) 오후 9시 30분

FOMC에서 기준금리는 동결로 예상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파월 의장의 발언이나 물가, 고용 지표의 발표에 따라
올해 금리 인하를 향한 시장 기대가 달라질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주식시장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되요.

투자자라면?
주요 지표 발표가 맞물려있는 때라
시장의 불확실성, 변동성이 높아요.
투자를 좀 하신 분들이라면 저점 매수를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지만
보수적인 성향이라면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시장이 좀 안정적여졌을 때
진입하는 계획을 세워보는 것도 좋겠네요.



토스증권 이지선 애널리스트 원본 글

반응형